이익은 얼마? 가치 평가의 핵심, PER과 EPS 쉽게 알아보기!
PER과 EPS는 왜 중요한가요?
주식을 살 때 “이 회사가 지금 얼마를 벌고 있는가?”,
“그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 주가가 비싼가?”를 판단하려면
EPS와 PER 지표를 반드시 이해해야 합니다.
이 두 가지는 기업의 수익성과 주가 수준을
가장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치 평가 도구입니다.
"EPS는 수익성, PER은 가격 수준을 보여줍니다." 💡
EPS란 무엇인가요?
EPS(Earnings Per Share)는 ‘주당순이익’을 의미합니다.
쉽게 말해, “이 회사가 주식 1주당 얼마를 벌었는가?”를 보여주는 수치입니다.
EPS = 순이익 ÷ 발행 주식 수
예: 순이익 1억 원, 주식 수 10만 주
👉 EPS = 1억 ÷ 10만 = 1,000원
"주식 한 주가 1년에 1,000원의 이익을 창출했다는 뜻입니다." 🧾
PER의 의미 이해하기
PER(Price to Earnings Ratio)은
현재 주가를 EPS로 나눈 값입니다.
PER = 현재 주가 ÷ EPS
예: 주가 2만 원, EPS 1,000원
👉 PER = 20
이 말은 "이 회사의 이익을 기준으로 투자금 회수까지 20년이 걸린다"는 뜻입니다.
"PER은 그 회사의 주식이 비싼지 싼지를 보여주는 창입니다." 🧮
EPS 계산 예제로 쉽게 따라하기
실제 사례로 다시 보기:
- 회사 A의 1년 순이익: 5억 원
- 발행 주식 수: 50만 주
👉 EPS = 5억 ÷ 50만 = 1,000원
이 EPS는 투자자에게
"이 주식 한 장이 벌어들이는 이익"을 직접적으로 알려줍니다.
"EPS가 높을수록 이익을 잘 내는 기업이라 볼 수 있어요." 📊
PER 계산 예제로 이해하기
앞의 EPS를 바탕으로 PER 계산해볼까요?
- 주가: 15,000원
- EPS: 1,000원
👉 PER = 15,000 ÷ 1,000 = 15
즉, "이 기업은 15년 동안 이익을 그대로 낸다고 가정할 때
내가 투자한 금액을 회수할 수 있다"는 의미입니다.
"PER은 이익 대비 주가 수준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" 💬
PER 낮으면 무조건 좋은가요?
낮은 PER은 보통 저평가, 높은 PER은 고평가로 해석되지만
무조건 그렇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.
PER이 낮은 이유가
- 시장의 기대감 부족
- 산업의 하락세
- 수익 악화 가능성 때문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
"PER은 참고 지표일 뿐, 맹신은 금물입니다." 🚨
PER 해석 시 주의할 점
PER은 업종별로 기준이 다릅니다.
예: IT업종은 PER 30도 적정, 제조업은 10 이하도 많습니다.
따라서 반드시 동일 업종 내에서 비교해야 의미가 있고,
전체 시장 평균과의 비교도 하나의 기준이 됩니다.
"PER은 맥락 속에서 해석할 때 진짜 힘을 발휘합니다." 🧠
📌함께 보면 좋은 글
1. 20대 사회초년생, 월 150만원 저축하는 실전 재테크 전략
20대 사회초년생, 월 150만 원 저축하는 실전 재테크 전략
지금 시작하면 자산 1억, 현실이 됩니다사회에 첫발을 디딘 20대 초년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재테크 목표는 바로 지속적인 저축과 자산 증식입니다. 특히 월 150만 원을 저축하는 전략은 단순한 돈
ruehlstory292513.tistory.com
개인 투자자를 위한 경제 지표 읽는 법
경제 흐름을 읽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법경제 지표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의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. 그러나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이를 해석하는 방법을 몰
ruehlstory292513.tistory.com
'투자야 놀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외주식 세금신고 간편하게 하는 방법 (1) | 2025.04.26 |
---|---|
재테크 실패 막는 법, 인플레이션 시대를 이기는 자산 전략 (6) | 2025.04.26 |
2025년부터 달라진 미국주식 세금,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변화 (4) | 2025.04.25 |
실전 투자일지 공개, 미국 주식 3개월 수익률 대공개 (3) | 2025.04.24 |
매달 배당금 받는 법, 고배당 ETF로 월급처럼 만드는 투자법 (0) | 2025.04.24 |